Article

나주 배 수출단지의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 발생양상 분석

박정선1, 박중원1, 강아랑1, 이상현2, 양광열1, 김월수1, 김익수1,*
Jeong Sun Park1, Joong Won Park1, Ah Rang Kang1, Sang Hyun Lee2, Kwang-Yeol Yang1, Wol Soo Kim1, Iksoo Kim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부
2전남대학교 배수출연구사업단
1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00-757, Republic of Korea
2Korean Pear Research Organiz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00-757,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ikkim81@jnu.ac.kr

ⓒ Copyright 2017,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Jun 30, 2014

초록

배에서 가장 심각한 해충으로 알려진 꼬마배나무이(Pear psylla, Caccopsylla pyricola)는 월동처가 거친 나무껍질 밑으로 약재의 효능이 낮으며 농약 저항성이 쉽게 발달하여 화학적 방제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월동성충의 수상이동시기와 알을 산란하는 시기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는 것이 중요한 방제전략 중 하나로 실행되고 있다. 수상이동시기 및 산란시기의 예측은 기상정보와 꼬마배나무이의 생태정보를 바탕으로 그 모형이 제시된바 있으나 기 개발된 모형은 중부지방을 대상으로 조사된 결과로 날씨가 온난한 남부지방에서의 실측자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수년간 나주지역 배 수출단지에서 꼬마배 나무이 발생현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무인기상장치를 이용한 기상정보도 수집하였다. 그 결과, 남부지방의 높은 기온으로 인해 꼬마배나무 이의 수상이동시기 및 산란시기는 기존 발생 예측 모델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주지역의 경우 수상이동은 기존 예측모델과 비교하여 최대 14일 차이가 발생하였고 산란일의 경우 최대 7 일 정도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남부지방을 대상으로 한 발생 예측모델연구 및 방제전략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s for pear is the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Hemiptera: Psyllidae). Due to the nature of the overwintering adults that spend winter time underneath bark the control of the pear psylla is very difficult. Thus, one of the effective control methods recommended includes a spray of machine oil emulsion, when overwintering adults start to move upward to tree branches and when eggs that have been oviposited by overwintered adult females are observed. Previously, the model that predicts the onset date of upward-movement and oviposition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weather and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pear psylla, but it base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entral region of Korea, requiring the data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at is warmer than central reg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vestigated annual occurrence of the pear psylla by weekly field observation and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by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that has been installed at Bonghwang in Naju City. As a result, we found 14 days difference for the onset of upward-movement at maximum and 7 days difference for the first observation of eggs at Naju City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diction. Consequently, additional study for prediction model and resultant modification of the control strategy is needed, targeting the pear psylla populations occurring in southern region of Korea.